본문 바로가기

운동이야기54

[풀업일기] 풀업 10개 도전!! (1) [풀업일기] 풀업 10개 도전!! (1) 8월 무더운지만 가족과 즐거운 휴가를 마치고 풀업 10개 도전을 목표로 유튜브를 하고 있습니다. . . . 6월 부터 시작한 클라이밍에 손과 팔 힘이 간절하게 필요하더라고요 작년에 5개까지는 했는데... 꾸준히 하지 않으니 다시 1개 하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. . . 그래서 8월은 풀업 10개를 목표로 운동을 하려고 합니다. 일주일 동안 영상을 찍어서 올려봤습니다. https://youtube.com/shorts/vHubRcMwfkI?feature=share . . . 간단하게 인증하려고 올렸는데... 잘해보려고 욕심이 나더라고요... 주말에 편집을 해봐야 겠습니다. ㅎㅎㅎ . . . 풀업을 혼자 무작정 하려고 하니 쉽지 않아서 포스팅도 하고 풀업을 효율적으로 할.. 2021. 8. 18.
[클라이밍 이론] 클라이밍 용어 #3 [클라이밍 이론] 클라이밍 용어 #3 오늘은 클라이밍을 이해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거나 암장, 등반시 들을 수 있는 용어들을 알아보겠습니다. 전문적으로 쓰는 용어도 있지만, 일반인이 쉽게 사용하는 단어도 있으니 가볍게 읽어주세요^^ ■ 클라이밍 용어정리 루트 : 등반을 하는 경로 그레이드 :루트에 매겨진 난이도. 국가별로 표시 방법이 다양해서 적용이 복잡하다. 요렇게 색깔별로 난이도를 나눠서 등급을 표시한다고합니다. 우리나라에서는 미국식 표시법을 주로 쓴다. 아래와 같이 실내암장마다 각자 색깔별로 그레이드를 나눠놓는다고합니다. 제가 다니는 암장은 빨/주/노/초/파/남/보 무지개색으로 구분한다고 하더라고요 하네스(안전벨트) : 등반자의 로프를 연결시키는 안전장비 실내 클라이밍에서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장비지.. 2021. 8. 1.
[클라이밍 이론] 클라이밍 용어 #2 [클라이밍 이론] 클라이밍 용어 #2 오늘은 클라이밍스포츠 배우면서 초보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느끼는 그립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첫날은 메달리기 위해 홀드를 잡고 있었다면 한달이 지난서 조금씩 그립법을 알고 잡아야 겠다는 생각을 합니다. ■ 클라이밍 홀드 그립법 1.오픈그립 : 엄지와 4손가락이 떨어진 상태로 잡는 그립 밋밋한 형태의 홀드를 잡는 방법으로 손가락을 고르게 펴서 홀드를 잡고 엄지손가락은 검지 위로 눌러주듯 붙이면 돼요. 수직으로 멀리 있는 홀드를 잡을 때 유리한 그립법입니다. 잡기가 쉬운만큼 방향성이 명확해서 손가락과 팔을 수직되게 잡지 않으면 체중이 손목에 실려 부상을 당할 수 있다고 합니다. 이런 경우 인사이드 엣징, 아웃사이드 엣징을 이용해 발의 방향을 바꿔가면서 홀드 손가락 라인과.. 2021. 7. 27.
[클라이밍 이론] 클라이밍 용어 #1 [클라이밍 이론] 클라이밍 용어 #1 오늘은 클라이밍 이론 공부를 하려고 합니다. ■ 클라이밍 홀드 종류 홀드 : 손 또는 발로 딛거나 끌어당길 수 있는 바위의 부분 또는 요철 홀드의 종류는 모양과 잡는 방법에 따라 분류하는데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1.저그 : 손가락을 벌려서 잡을 수 있는 편하고 큰 홀드를 말한다.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홀드로 '손잡이가 달린 주전자'를 뜻합니다. 손가락을 벌려서 잡을 수 있는 편하고 큰 홀드 입니다. 2.핀치 :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으로 홀드를 꼬집듯 잡는 홀드 손에 힘이 많이 필요한 홀드로 물건을 자르거나 조일 때 사용하는 공구 펜치처럼 엄지 손가락과 나머지 네손가락을 조이듯이 잡는다. 대게 손이 큰 분들이 좋아하고 잘 잡는 홀드입니다. 3.크림.. 2021. 7. 24.